자격증 & 시험 준비/일반산업안전

03. 화재 시 행동 요령

squareegg 2025. 6. 9. 10:17

🔥 화재 및 폭발 소화설비 사용요령 완벽 가이드

📋 학습 목표

  • 소화기의 종류 및 사용법 이해
  • 옥내소화전설비 사용법 숙지
  • 화재 시 행동요령 및 응급처치 방법 습득

🧯 소화기의 종류와 특성

1. 가압방식에 따른 분류

축압식 소화기

  • 소화기 용기 내부에 소화약재와 압축공기 또는 불연성가스(CO₂, 질소) 충전
  • 압력계가 부착되어 내부 압력 확인 가능
    • 녹색 부분: 정상 압력 상태
    • 적색 부분: 비정상 압력 상태

가압식 소화기

  • 내장된 가압가스 용기의 압력으로 소화약재 방출

2. 소화약재에 따른 분류

💧 물 소화약재

  • 특성: 기화잠열, 체적팽창(약 1,700배), 표면장력이 큼
  • 소화원리: 냉각효과 + 질식효과
  • 적용: 주로 A급 화재(일반화재)

🫧 포 소화약재

  • 종류: 단백포, 합성계면활성제포, 수성막포, 내알코올포
  • 소화원리: 연소물 표면에 포막을 형성하여 소화
  • 특성: 물에 소량의 포소화약재 첨가 후 공기 혼합

💨 CO₂ 소화약재

  • 소화원리: 질식효과 + 증발열에 의한 냉각효과
  • 적용: 유류화재, 전기화재에 적합
  • ⚠️ 주의사항:
    • 사용 시 유독가스 발생으로 호흡 주의
    • 방사 시 신체 접촉 금지 (동상 위험)

🌪️ 분말 소화약재

  • 특성: 고체상태를 미세한 분말로 제작
  • 장점: 전기전도성 없음, 빠른 소화성능
  • 적용: 전기화재, 가스화재, 일반화재 등 다목적 사용

🔥 화재의 종류 (ABC 분류)

화재 등급 대상 설명 적합한 소화약재
A급 일반화재 종이, 나무, 섬유 등 (재가 남는 화재) 물, 포
B급 유류화재 기름, 가연성액체 (재가 남지 않는 화재) 포, CO₂, 분말
C급 전기화재 전기설비 화재 CO₂, 분말

🚨 소화기 사용법 (4단계)

1단계: 접근

  • 당황하지 말고 침착하게 소화기 손잡이를 잡고 불쪽으로 접근

2단계: 안전핀 제거

  • 손잡이 앞쪽의 안전핀을 힘껏 뽑기
  • ⚠️ 주의: 손잡이를 누르면서 뽑으면 잘 빠지지 않음

3단계: 자세 잡기

  • 바람을 등지고 불난 곳을 향해 호스를 들고 손잡이를 움켜쥠
  • 팔을 몸과 최대한 멀리 뻗은 후 호스를 불쪽으로 향하기

4단계: 방사

  • 불길 주위에서부터 빗자루로 쓸듯이 골고루 방사
  • 분말소화기는 질식소화방식이므로 넓게 덮어씌우듯 사용

🏢 옥내소화전 사용법

구성요소

  • 개폐밸브, 표시등, 비상발신기, 음향장치, 노즐, 호스

종류

  1. 수동기동방식: 기동스위치를 누르고 앵글밸브를 열어 펌프 가동
  2. 자동기동방식: 앵글밸브를 열면 압력감소로 펌프 자동 가동

사용법 (6단계)

⚠️ 중요: 반드시 3인 1조로 작업

  1. 준비: 옥내소화전함을 열고 소방호스와 방사관창을 꺼냄
  2. 이동: 화재 발생 장소로 이동
  3. 개방: 소화전 밸브를 왼쪽으로 돌려 개방
  4. 방사: 관창을 열고 불이 난 곳에 물을 방사
  5. 차단: 화재 진압 완료 시 앵글밸브 폐쇄
  6. 정리: 호스를 건조 후 보관

사용 시 주의사항

  • 방수 시 호스가 꺾이지 않도록 주의
  • 호스의 반동력이 크므로 노즐을 놓지 말 것
  • 반동력이 큰 소화전은 보조자 필요
  • 소화 완료 후 반드시 앵글밸브 잠금

🏃‍♂️ 화재 시 행동요령

발견 초기 안전조치

  1. 신고: 타인에게 화재 발생 알림
  2. 초기소화: 소화기, 모래, 옥내소화전 등으로 초기 진압
  3. 119 신고: 초기소화 불가능 시 즉시 신고
  4. 대피: 출입문을 닫고 대피 (연소속도 지연)

대피요령

  • 문 확인: 손등으로 문을 만져보고 뜨거우면 열지 않음
  • 자세: 낮은 자세로 엎드려 대피
  • 호흡: 젖은 수건으로 입과 코를 막고 짧게 호흡
  • 경로: 유도등을 따라 침착하고 질서있게 대피
  • 🚫 금지: 엘리베이터 절대 사용 금지

건물에 갇혔을 때

  • 무리한 대피보다 안전조치 후 구조 요청
  • 창문을 통해 갇혀있음을 외부에 알림
  • 물이 있으면 가연물에 뿌려 확산 지연
  • 화상 예방을 위해 젖은 수건으로 얼굴, 팔 보호

🚑 응급처치 요령

의식 확인 및 기본 처치

  • 의식 없음: 기도 확보 → 인공호흡 → 심폐소생술
  • 출혈: 압박지혈, 지압지혈

화상 처치

일반 화상

  1. 냉각: 깨끗한 냉수(15도 이하)로 15분 이상 차게 하기
  2. 보호: 깨끗한 천으로 화상 부위 보호
  3. 소독: 응급상황 시 소독약으로 주변 소독

약품 화상

  1. 세척: 20분 정도 수돗물로 약액 씻어내기
  2. 제거: 약품이 묻은 의복, 신발 즉시 제거
  3. : 20분 이상 세면기에서 흐르는 물로 세척

🚫 화상 처치 금지사항

  • 된장, 간장, 감자, 기름 등 바르기 금지
  • 물집 터트리기 금지
  • 눈 화상 시 문지르기 금지
  • 의사 허락 없이 물 마시기 금지

🔌 화재 발생 후 조치사항

전기설비

  • 전원 차단기 OFF
  • 진화 후 전기배선 함부로 만지지 말 것
  • 한국전기안전공사에 점검 의뢰

가스설비

  • 코크, 중간밸브, 용기밸브 잠금
  • 가스안전공사 및 공급업소 신고
  • 바람의 반대방향으로 대피

독성가스 누출 시

  • 주변 사람들에게 알려 대피
  • 손수건으로 코와 입을 막고 높은 지대로 대피
  • 바람의 반대방향으로 이동
  • 관련 기관에 즉시 신고

📝 핵심 포인트 정리

✅ 꼭 기억할 것

  1. 소화기 사용: 바람을 등지고, 빗자루로 쓸듯이 방사
  2. 화재 시 대피: 엘리베이터 사용 금지, 낮은 자세로 대피
  3. 응급처치: 화상 시 즉시 냉각, 금지사항 숙지
  4. 예방이 최고: 평상시 안전수칙 숙지 및 훈련 중요

🆘 응급상황 연락처

  • 화재신고: 119
  • 전기안전: 한국전기안전공사
  • 가스안전: 가스안전공사

💡 화재는 예방이 가장 중요하며, 만약 발생했을 때는 침착하고 신속한 대응이 생명을 구할 수 있습니다. 평소 소화설비 사용법을 숙지하고 정기적인 훈련을 통해 대비하시기 바랍니다.

더보기

📋 1. 소화기 종류별 특성 (⭐⭐⭐)    

구분 종류 소화원리 적용 화재 핵심 특징
축압식 압력계 부착 - 모든 종류 🟢녹색=정상, 🔴적색=비정상
가압식 내장 가스용기 - 모든 종류 가압가스로 방출
냉각+질식 A급(일반화재) 기화잠열, 1,700배 팽창  
포막 형성 A급, B급 단백포, 합성계면활성제포, 수성막포, 내알코올포  
CO₂ 질식+냉각 B급(유류), C급(전기) ⚠️호흡주의, 동상위험  
분말 질식 A급, B급, C급 전기전도성 없음, 다목적  

🔥 2. 화재 등급 분류 (암기 필수 ⭐⭐⭐)

    
등급 화재 종류 대상물 특징 적합 소화약재
A급 일반화재 종이, 나무, 섬유 재가 남음 물, 포
B급 유류화재 기름, 가연성액체 재가 남지 않음 포, CO₂, 분말
C급 전기화재 전기설비 감전 위험 CO₂, 분말

🧯 3. 소화기 사용법 4단계

단계 동작 핵심 포인트 주의사항
1단계 접근 침착하게 불쪽으로 접근 당황 금지
2단계 안전핀 제거 손잡이 누르지 말고 힘껏 뽑기 ⚠️손잡이 누르면 안 빠짐
3단계 자세 잡기 바람을 등지고 호스를 불쪽으로 팔을 최대한 멀리 뻗기
4단계 방사 빗자루로 쓸듯이 골고루 방사 불길 주위부터 넓게 덮기

🏢 4. 옥내소화전 사용법 (단계별 암기 ⭐⭐⭐)

   
단계 동작 세부 내용 필수 암기
준비 소화전함 개방 호스와 방사관창 꺼내기 3인 1조 작업
이동 화재 현장 이동 호스 끌고 이동 호스 꺾임 주의
개방 밸브 개방 왼쪽으로 돌려 개방 수동/자동 기동방식
방사 물 방사 관창 열고 방사 반동력 주의
차단 밸브 폐쇄 진압 완료 시 차단 앵글밸브 잠금
정리 호스 건조 보관 사용 후 정리 재사용 대비

🏃‍♂️ 5. 화재 시 행동요령 (순서 암기 ⭐⭐⭐)

발견 초기 (4단계)

순서 행동 내용 암기 키워드
1단계 신고 타인에게 화재 발생 알림 "불이야!"
2단계 초기소화 소화기, 모래, 소화전 사용 가능한 범위 내
3단계 119 신고 초기소화 불가능 시 즉시 신고
4단계 대피 출입문 닫고 대피 연소속도 지연

대피요령 (필수 암기)

구분 방법 이유/주의사항
문 확인 손등으로 만져보기 뜨거우면 열지 않음
자세 낮은 자세로 엎드려 연기는 위로 올라감
호흡 젖은 수건으로 코/입 막기 짧게 호흡
경로 유도등 따라 이동 침착하고 질서있게
🚫 금지 엘리베이터 절대 사용 금지 정전 시 갇힐 위험

🚑 6. 응급처치 요령 (실무 중요 ⭐⭐)

화상 처치 순서

구분 처치법 시간/온도 주의사항
일반 화상 냉수로 냉각 15도 이하, 15분 이상 깨끗한 물 사용
보호 깨끗한 천으로 보호 - 감염 방지
약품 화상 수돗물로 세척 20분간 약품 묻은 옷 즉시 제거
눈 화상 흐르는 물로 세척 20분 이상 문지르기 금지

🚫 화상 처치 금지사항 (시험 단골 문제 ⭐⭐⭐)

금지 행위 이유
된장, 간장, 감자, 기름 바르기 감염 위험, 상처 악화
물집 터트리기 2차 감염 위험
눈 화상 시 문지르기 손상 확대
의사 허락 없이 물 마시기 수술 방해 가능성

⚡ 7. 화재 후 조치사항 (안전관리 ⭐⭐)

설비 종류 즉시 조치 신고 기관 추가 주의사항
전기설비 전원 차단기 OFF 한국전기안전공사 배선 함부로 만지지 말 것
가스설비 코크/중간/용기밸브 잠금 가스안전공사, 공급업소 바람 반대방향 대피
독성가스 주변인 대피 알림 관련 기관 높은 지대로 대피

📞 8. 응급연락처 (필수 암기 ⭐⭐⭐)

상황 연락처 기관명
화재신고 119 소방서
전기사고 - 한국전기안전공사
가스사고 - 가스안전공사

🎯 시험 출제 예상 문제 유형

객관식 단골 문제

  1. 소화기 압력계: 녹색(정상) vs 적색(비정상)
  2. 화재 등급: A급(재 남음), B급(재 안 남음), C급(전기)
  3. 소화기 사용법: 바람을 등지고, 빗자루로 쓸듯이
  4. 대피 시 금지사항: 엘리베이터 사용 금지
  5. 화상 처치 금지: 된장, 간장 등 바르기 금지

단답형/서술형 예상

  1. 옥내소화전 사용법 6단계 순서 쓰기
  2. 화재 시 행동요령 4단계 설명
  3. CO₂ 소화기 사용 시 주의사항 2가지
  4. 화상 응급처치 방법과 금지사항

실기 시연 가능 부분

  1. 소화기 사용법 4단계 시연
  2. 옥내소화전 사용법 (3인 1조)
  3. 화재 시 대피요령 실습

💡 암기 팁

  • 소화기: "접근→안전핀→자세→방사" (접안자방)
  • 옥내소화전: "준비→이동→개방→방사→차단→정리" (준이개방차정)
  • 화재 행동: "신고→소화→119→대피" (신소일구대)
  • 화상 금지: "된간감기" (된장, 간장, 감자, 기름)
728x90
반응형

'자격증 & 시험 준비 > 일반산업안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06. 기계안전  (0) 2025.06.09
05. 안전 보호구  (0) 2025.06.09
04. 화학 안전 및 가스 안전  (0) 2025.06.09
02. 소방안전  (0) 2025.06.09
01. 연구실 안전 일반 및 사고 사례  (0) 2025.06.0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