산업안전보건교육 - 컴퓨터 안전 및 생활안전
💻 컴퓨터 안전
CVS(컴퓨터 시각 증후군)란?
- 정의: 컴퓨터 모니터나 VDT에 너무 오래 노출되어 나타나는 증상
- 주요 증상:
- 눈의 충혈과 시력 저하
- 가벼운 통증
- 두통
컴퓨터 사용의 위험 요인
- 유해 전자파 발생으로 인한 각종 질환 노출
- 눈, 목, 허리 등 신체 무리
- 컴퓨터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의 경우 증상이 더 심하게 나타남
🖥️ VDT 증후군
VDT란?
- 정의: Visual Display Terminal -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
- VDT 증후군: TV, 게임, 컴퓨터 등의 VDT 장치와 함께 오랜 시간 같은 자세로 작업할 때 발생하는 증상
주요 증상
- 눈의 피로와 시력 저하
- 근골격계 통증
- 국소적 근골격계 질환
- 누적외상성 질환
- 반복적인 스트레스 손상
VDT 증후군 유발요인
- 전자파
- 모니터의 화면 크기, 밝기, 색상
- 작업의 종류
- 작업자와 스크린과의 거리, 높이
- 작업 시간
- 실내 습도 및 온도
- 실내 공기 오염도
🏥 인체에 미치는 영향
1. CTD(누적외상성 질환)
- 정의: 반복적이고 누적되는 특정 일이나 동작으로 신체 일부를 과용하면서 나타나는 질환
- 주요 부위: 목, 어깨, 팔, 손목
- 별칭: 경견완장애
경견완장애 3대 질환
- 근막통증후군
- 외상과염
- 수근관증후군(손목터널증후군)
2. 손목터널증후군
- 원인: 마우스, 키보드 장시간 사용
- 증상:
- 손가락 절임이나 마비
- 손의 신경 마비로 손 사용 불가
- 발생률: 30~50대, 특히 여성이 남성보다 5배 더 많이 발생
3. 근막통증후군
- 원인:
- 컴퓨터 자판 높이가 높을 때 어깨 근육 긴장 증가
- 정신적 스트레스로 인한 목, 어깨 근육 긴장
- 증상: 어깨와 목 근육이 굳어지고 통증 유발
🛡️ VDT 증후군 예방법
올바른 자세
- VDT 화면 상단과 눈의 위치를 같은 높이로 유지
- 원고, 키보드, 화면은 눈에서 같은 거리에 배치
- 팔의 각도, 무릎의 각도 90도 이상 유지
- 손목은 수평 유지
- 의자와 대퇴부 무릎 쪽 하단 사이에 손가락이 들어갈 정도의 공간 확보
- 발바닥 전면이 바닥에 닿지 않을 경우 발받침대 설치
작업 환경 개선
- 조명과 채광을 너무 밝지 않도록 설정
- 정기적인 휴식 (1시간에 10분씩)
- 가벼운 운동과 스트레칭 실시
- 안구 건조 예방을 위한 눈 운동
- 실내 공기 환기
신체 부위별 예방법
시력계통
- 컴퓨터 작업 시 최대한 자주 눈 깜빡이기
- 화면을 노려보면 눈 깜빡임이 분당 20회에서 5회로 감소
- 주기적으로 화면을 떠나 휴식
- 먼 곳 바라보기
근골격계
- 올바른 자세 유지할 수 있는 의자 사용
- 작업대에서 팔이 완전히 지지되어 편안한 자세 취하기
호흡기계
- PC 대수 작업면적 최소 4.5㎡ 이상
- 천정 높이 2.5m 이상
- 공기 체적 13㎡ 이상
- 정기적인 환기
🏠 생활안전
1. 가정에서의 안전
주요 사고 유형
- 추락, 중독, 화재, 화상, 질식, 익사 등
- 주요 피해자: 노약자, 영유아
예방 대책
미끄러짐과 전도 예방
- 실내 바닥의 장난감, 물기, 기름기 제거
- 계단 바닥면, 손잡이, 미끄럼방지턱 관리
- 적절한 조도 유지
중독사고 예방
- 약품, 세제, 화장품 등 위험물질을 영유아 손에 닿지 않는 곳에 보관
화재 예방
- 화재감지기 설치 및 정기 점검
- 성냥, 라이터는 영유아 손에 닿지 않는 곳에 보관
- 소방안전교육 실시
- 피난계획 수립
질식사고 예방
- 자녀가 음식을 먹거나 놀 때 지켜보기
- 나이에 적절한 장난감 사용
- 풍선, 비닐봉투 등 위험물품 주의
익사사고 예방
- 욕조에 장난감 두지 않기
- 자녀를 욕조에 혼자 두지 않기
- 물놀이 시 구명조끼 착용
하임리히법 (응급처치)
성인의 경우
- 환자 뒤에서 양팔로 허리 껴안기
- 한 손으로 주먹을 만들어 배꼽 위에 엄지손가락 갖다대기
- 다른 손으로 주먹을 감싸고 복부 안쪽으로 빠르게 세게 밀어올리기
영유아의 경우
- 환자 머리를 아래쪽으로 향하게 하여 엎드린 자세
- 한 손으로 턱 지지, 다른 손으로 견갑골 사이를 손바닥으로 4-5회 두드리기
- 환자를 돌려 가슴을 4-5회 압박
2. 자연재해 안전
홍수/호우 대응
- 대피 준비 및 모래주머니, 튜브 등 준비
- 라디오, TV, 인터넷으로 기상 변화 확인
- 어린이, 노약자 외출 금지
- 피난 장소와 경로 사전 숙지
- 무릎 위로 물이 흐르는 지역에서 보행 금지
폭염 대응
- 야외활동 자제
- 외출 시 넓은 모자 착용, 가벼운 옷차림
- 물병 휴대, 충분한 수분 섭취
- 밀폐된 차량에 노약자, 어린이 방치 금지
- 12시~오후 5시 사이 냉방 가능한 건물에 머물기
태풍/강풍 대응
- TV, 라디오로 태풍 진로와 도달시간 확인
- 바람에 날아갈 위험이 있는 물품 고정 또는 실내 이동
- 유리창에 젖은 신문지, 테이프 부착
대설 대응
운전자
- 대중교통 이용 권장
- 체인, 모래주머니, 삽 등 안전장구 휴대
- 제동거리 확보, 엔진브레이크 사용
보행자
- 바닥면이 넓은 신발 착용
- 보호장갑 착용, 주머니에 손 넣지 않기
- 휴대전화 통화 자제
한파 대응
건강관리
- 동상 주의 (손가락, 발가락, 귓바퀴, 코끝)
- 저체온증 증세 확인 (한기, 기억상실, 방향감각 상실 등)
- 노약자, 만성질환자 보온 유의
- 독감 예방접종
시설관리
- 수도계량기 보호함 보온
- 장기간 외출 시 수도꼭지 약간 열어두기
지진 대응
사전준비
- 무거운 물건을 높은 곳에 보관 금지
- 책장, 캐비닛 등을 벽에 단단히 고정
- 시약장에 안전밸브 설치
발생 중
- 침착하게 책상 테이블 하단에 숨기
- 창문, 높은 물건, 전기기기 접근 금지
- 화학실험실에서는 복도로 피난
종료 후
- 여진 주의
- 부상자 확인 및 응급처치
- 엘리베이터, 성냥, 라이터 사용 금지
3. 취미활동과 안전
자전거/오토바이 안전
- 도로 가장자리 이용
- 인도 운행 금지
- 이어폰, 헤드폰 착용 금지
- 적절한 제동장치, 라이트, 후미등 설치
- 음주 운전 금지
- 헬멧 착용 의무
산행 안전
- 출발 전 날씨 확인 및 적절한 복장 준비
- 체력에 맞는 산행
- 단독 산행 금지
- 지정 등산로 이용
- 지정장소 외 취사 금지
- 음주는 하산 후
구기종목 안전
- 운동 전 스트레칭 및 준비운동
- 기본 기술 습득 후 경기 참여
- 무리한 볼 경합 금지
- 상대방 배려
- 적절한 보호구 착용
📝 정리
핵심 포인트
- 컴퓨터 안전: 올바른 자세, 정기적 휴식, 작업환경 개선이 핵심
- 가정 안전: 다양한 사고 유형에 대한 예방과 응급처치법 숙지
- 자연재해: 각 재해별 특성을 이해하고 적절한 대응방법 준비
- 취미활동: 안전수칙 준수와 적절한 보호장비 착용
공통 안전수칙
- 사전 교육과 준비의 중요성
- 무리한 활동 금지
- 적절한 보호장비 사용
- 정기적인 점검과 관리
- 응급상황 대처법 숙지
💡 기억하세요: 안전은 예방이 최우선입니다. 작은 주의와 준비가 큰 사고를 막을 수 있습니다!
더보기
용어 | 정의 | 핵심키워드 |
CVS | 컴퓨터 시각 증후군 | 모니터 장시간 노출, 눈 충혈, 시력저하, 두통 |
VDT | Visual Display Terminal | 디스플레이 장치 (모니터, TV, 게임기) |
CTD | 누적외상성 질환 | 반복작업으로 인한 신체과용, 목/어깨/팔/손목 |
경견완장애 | CTD의 별칭 | 목-어깨-팔 부위 장애 |
🏥 질환별 핵심내용
VDT 증후군 3대 질환 (⭐⭐⭐)
질환명 | 주요증상 | 원인 | 특징 |
수근관증후군 | 손가락 저림/마비, 손 사용불가 | 마우스/키보드 장시간 사용 | 30-50대 여성이 남성보다 5배 많음 |
근막통증후군 | 목/어깨 근육 경직, 통증 | 자판높이, 정신적 스트레스 | 어깨 근육 긴장 증가 |
외상과염 | 팔꿈치 통증 | 반복적 팔 사용 | 테니스엘보우와 유사 |
VDT 증후군 유발요인 (암기필수 ⭐⭐⭐)
- 전자파
- 모니터 (화면크기, 밝기, 색상)
- 작업종류
- 거리/높이
- 작업시간
- 실내 습도/온도
- 실내 공기오염도
🖥️ 올바른 컴퓨터 작업자세 ( ⭐⭐⭐⭐)
각도 및 위치 (숫자 암기필수!)
부위 | 기준 | 각도/거리 |
화면 상단 | 눈높이와 동일 | - |
팔 각도 | 90도 이상 | 90°↑ |
무릎 각도 | 90도 이상 | 90°↑ |
손목 | 수평 유지 | 0° |
의자-무릎 간격 | 손가락 들어갈 정도 | 약 2-3cm |
예방법 핵심원칙
- 1시간에 10분 휴식 (시험출제 가능성 높음)
- 눈 깜빡임: 정상 20회/분 → 작업시 5회/분 (감소율 암기!)
- 작업면적: PC 1대당 최소 4.5㎡
- 천정높이: 2.5m 이상
- 공기체적: 13㎡ 이상
🏠 생활안전 - 응급처치법
하임리히법 (실기시험 가능성 ⭐⭐⭐⭐)
성인용 (4단계)
- 환자 뒤에서 양팔로 허리 껴안기
- 한 손 주먹을 배꼽 위 엄지손가락 갖다대기
- 다른 손으로 주먹 감싸기
- 복부 안쪽으로 빠르게 세게 밀어올리기
영유아용 (3단계)
- 머리 아래향하게 엎드린 자세
- 턱 지지 + 견갑골 사이 손바닥으로 4-5회 두드리기
- 돌려서 가슴 4-5회 압박
🌪️ 자연재해 대응요령 (객관식 단골)
폭염 대응
- 위험시간대: 12시~오후 5시 (냉방건물 이용)
- 복장: 넓은 모자, 가벼운 옷
- 금지사항: 밀폐차량에 노약자/어린이 방치
대설 대응
구분 | 핵심사항 |
운전자 | 체인/모래주머니/삽 휴대, 제동거리 확보, 엔진브레이크 사용 |
보행자 | 바닥면 넓은 신발, 보호장갑, 주머니에 손 넣지 않기 |
지진 대응 (3단계)
시점 | 행동요령 |
사전 | 무거운 물건 높은 곳 금지, 가구 벽 고정, 시약장 안전밸브 |
발생중 | 책상 하단 숨기, 창문/높은 물건/전기기기 접근 금지 |
종료후 | 여진 주의, 부상자 확인, 엘리베이터/성냥/라이터 사용 금지 |
🚴 취미활동 안전수칙
자전거/오토바이 (법규 관련 출제가능)
- 금지사항: 인도운행, 이어폰/헤드폰, 음주운전
- 의무사항: 헬멧 착용, 적절한 제동장치/라이트/후미등
- 이용원칙: 도로 가장자리
산행 안전
- 금지사항: 단독산행, 지정장소 외 취사, 하산 전 음주
- 준수사항: 날씨확인, 체력에 맞는 코스, 지정등산로
📊 숫자 암기 체크리스트
🔢 반드시 외워야 할 숫자들
- 90도: 팔 각도, 무릎 각도
- 20회→5회: 정상 눈 깜빡임 vs 작업시 눈 깜빡임
- 5배: 수근관증후군 여성 발병률(남성 대비)
- 30-50대: 수근관증후군 주요 발병연령
- 1시간 10분: 권장 휴식시간
- 4.5㎡: PC 1대당 최소 작업면적
- 2.5m: 최소 천정높이
- 13㎡: 최소 공기체적
- 4-5회: 하임리히법 두드리기/압박 횟수
- 12시-17시: 폭염 위험시간대
⚠️ 시험 출제 예상 포인트
객관식 예상문제 유형
- VDT 증후군 3대 질환 구분
- 올바른 작업자세 각도 (90도 관련)
- 하임리히법 순서 (성인 vs 영유아)
- 자연재해별 대응요령 (특히 지진 3단계)
- 수근관증후군 특징 (성별, 연령대)
단답형/서술형 예상
- CVS, VDT, CTD 용어 정의
- 경견완장애 3대 질환 나열
- 올바른 컴퓨터 작업환경 조건 (면적, 높이 등)
- 하임리히법 실시 방법
- 각 자연재해별 핵심 대응요령
💡 최종 점검 포인트
🎯 절대 틀리면 안 되는 핵심 5가지
- VDT 증후군 = 목/어깨/팔/손목 질환
- 수근관증후군 = 손목터널증후군 = 여성이 5배 많음
- 올바른 작업자세 = 90도 각도 유지
- 1시간 작업 → 10분 휴식
- 하임리히법 = 성인(복부압박) vs 영유아(등 두드리기+가슴압박)
📝 암기 팁
- CVS, VDT, CTD: 모두 영어 3글자 → 정의와 연결해서 외우기
- 90도: 팔과 무릎 모두 직각 이상
- 5배, 5회: 숫자 5 관련 모두 여성/횟수와 연관
- 자연재해: 각각 금지사항과 의무사항 구분해서 외우기
728x90
반응형
'자격증 & 시험 준비 > 일반산업안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0. 휴먼에러 및 인간공학 (0) | 2025.06.09 |
---|---|
08. 건설안전 및 물품의 안전한 운반 (0) | 2025.06.09 |
07. 전기 안전 (0) | 2025.06.09 |
06. 기계안전 (0) | 2025.06.09 |
05. 안전 보호구 (0) | 2025.06.09 |